제2차 사토 내각 (제2차 개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사토 내각 (제2차 개조)는 1968년 11월 30일부터 1970년 1월 14일까지 존속한 일본의 내각이다. 사토 에이사쿠가 내각총리대신을 맡았으며, 법무대신에 사이고 기치노스케, 외무대신에 아이치 기이치 등이 임명되었다. 내각관방부장관, 내각법제국 장관, 총리부 총무부장관 및 정무 차관 명단도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9년 일본 -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69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일미 안보조약 갱신 문제가 쟁점이었으나 자민당의 압승과 사회당의 참패, 낮은 투표율, 그리고 하타 쓰토무, 모리 요시로 등 정치 거물들의 등장과 다나카 가쿠에이의 정치적 입지 강화 등 일본 정치의 중요한 변곡점이 되었다. - 1969년 일본 - 도쿄대 투쟁
도쿄대 투쟁은 1960년대 후반 일본 사회의 격변 속에서 도쿄대학교를 중심으로 발생한 학생 운동으로, 미일안보조약 개정 문제, 베트남 전쟁 등의 시대적 배경과 대학 자치 논란, 인턴 제도 폐지 운동 등이 주요 원인이 되어 학생들이 대학 운영 방식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며 격렬한 투쟁을 전개했고, 대학 당국의 강경 진압과 1969년 야스다 강당 공방전, 입시 중단 사태 등을 거치며 학생운동의 쇠퇴와 함께 일본 사회에 다양한 사회적 영향을 남겼다. - 1970년 일본 - 안보 투쟁
안보 투쟁은 1960년 기시 노부스케 내각의 미일안전보장조약 개정에 반대하여 일본에서 일어난 대규모 사회 운동으로, 조약 강행 처리와 시위 격화 속에 발효되었고, 이후 일본 정치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 1970년 일본 - 미시마 사건
미시마 사건은 1970년 미시마 유키오가 방패회 회원들과 함께 육상자위대 동부방면총감부를 점거하여 헌법 개정과 자위대 국군화를 주장한 후 할복 자결한 사건으로, 그의 민족주의적 사상과 전후 일본 사회의 혼란을 보여주며 사회적 논쟁과 성찰을 촉구했다. - 1968년 일본 - 제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68년에 실시된 제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참의원 의석의 절반을 선출하는 선거로, 지역구와 전국구에서 자유민주당이 다수 의석을 획득했으나 야당도 상당수 의석을 확보했다. - 1968년 일본 - 료마가 간다 (1968년 드라마)
1968년 NHK 대하드라마인 료마가 간다는 시바 료타로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막부 말 사카모토 료마의 삶을 그린 시대극으로, 키타오지 킨야가 주연을 맡았으며 고치현 로케이션, 토사벤 사용 등 새로운 시도를 했으나 낮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일부 영상만 남아있다.
제2차 사토 내각 (제2차 개조) | |
---|---|
내각 정보 | |
내각 명칭 | 제2차 사토 제2차 개조내각 |
일본어 명칭 | 第2次佐藤第2次改造内閣 |
대수 | 62 |
수상 | 사토 에이사쿠 |
성립일 | 1968년 11월 30일 |
종료일 | 1970년 1월 14일 |
여당 | 자유민주당 |
선거 | 제3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해산일 | 1969년 12월 2일 |
해산 사유 | 오키나와 해산 |
![]() | |
각료 명단 | 각료 명단 (일본어) |
2. 내각
제2차 사토 내각 (제2차 개조)는 1968년 11월 30일에 발족하여 1970년 1월 14일까지 존속한 일본의 내각이다. 내각 구성원은 대부분 자유민주당 소속이었으며, 일부 중앙성청 출신 관료가 포함되었다.
2. 1. 국무대신
자유민주당 (사토 파벌)자유민주당 (사토 파벌)

자유민주당 (사토 파벌)
자유민주당 (후쿠다 파벌)
자유민주당 (이시이 파벌)

자유민주당 (사토 파벌)
자유민주당 (가와시마 파벌)

자유민주당 (마에오 파벌)

자유민주당 (사토 파벌)
자유민주당 (미키 파벌)
자유민주당 (나카소네 파벌)

자유민주당 (사토 파벌)
주부권 개발 정비 장관
수도권 정비 위원회 위원장
홋카이도 개발청 장관

자유민주당 (나카소네 파벌)
자유민주당 (사토 파벌)
자유민주당 (난조 그룹)
행정관리청 장관
자유민주당 (마에오 파벌)
자유민주당 (후쿠다 파벌)
자유민주당 (미키 파벌)
자유민주당 (사토 파벌)